종이매체(매거진)의 진화론 (아이패드 & e-book)
2010. 4. 3. 05:30ㆍ이슈
저희 회사는 전통적인 매거진을 출판 하는 회사 입니다. 주변에서 보셨을지는 모르겠지만 34년 넘게 발간되고 있는 "월간 디자인"과 저희 회사의 대표 매체인 "행복이 가득한집" 그리고 육아 잡지인 "맘 앤 앙팡" 전문 남성지 "맨즈헬스", 고급 전문지인 "럭셔리", 웨딩전문지인 "마이웨딩" 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을 통합으로 온라인으로 서비스하는 www.design.co.kr 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컨텐츠도 좋고 내용도 풍부하고 뭐가 문제야?"
많은 매거진 업체들이 던지는 물음에 웃음을 띄우며 한마디 던 질 수 밖에 없습니다.
"너무 많고 올드해!"
인터넷에서의 컨텐츠는 READ라는 계념보다는 SEARCH 라는 용어에 더 익숙해진 상태 임에도 레이아웃 이라던지 기존의 종이 매체의 특성을 버리지 못하고 온라인으로 글자 하나 안바뀌고 가져오는경우가 많습니다. 집에서 시간이 많아서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혹은 그사람들마져도 이를 외면 한다고 가정해 보면 답은 나옵니다.
사람들은 검색엔진을 통해 많은 량의 정보를 읽고 감동하는것이 아니고 검색 하는것입니다. 즉 그 정보안에 내가 찾는것이 간담 명료하게 정리 되어져 있다면 금상 첨화 입니다. 고급 정보는 그 후문제가 될 수 있다는게 저의 판단 입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오늘날 많은 인터넷 매체들은 아주 선정적인 피싱 문구들을 넣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또한 기사들 대부분이 스트레이트 기사들이 대부분의 내용을 가득 매웁니다. 짧고 간단하고 핵심 적인 내용만 들어있습니다. 군더더기가 없다고 해야 하나요 매거진이 이러한 대세나 기존의 전통방식을 부수면서 까지 그럴필요가 있느냐 라는 물음을 던진다면 필요 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 되어지는것이죠
즉 기사가 이원화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이말인 즉슨 스트레이트 기사가 먼저 공개되고 반응과 검증을 거쳐 탐사 보도화 되는 것이 오프라인 잡지를 통해서 발간되면 더욱 효과적이지 않을까요? 전세계 출판 시장을 뒤흔드는 아마존은 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온라인이나 킨들을 통해서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결국 소장용으로 살사람들은 산다는것이 아미존의 생각이죠.
이원화에 대한건 메이져 일간지들(흔히 조중동이라고도 부르죠)이 먼저 진행을 했습니다. 많은 일간지들은 자사 홈페이지와 포털을 통해서 매일매일을 새소식들을 쏟아 내기에 바빳으니까요
거기에 이제 포털들도 일간지들에게 광고 수익을 배분하고 있습니다.
매거진이 올드화가 가속되는건 전통적인 생산 방식과 말도 안되는 디지털 결과물 생산 방식에도 한몫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기사가 작성되면 인디자인이나 쿽 익스프레스를 통해서 출판을 위한 작업이 진행 됩니다. 그리곤 PDF로 변환을 통해서 출판이 이루어 지면 이를 디지털화를 하는데 텍스트와 이미지를 분리하는 작업을 합니다. 그리곤 다시 사람의 손을 타기 시작하고 태깅을 하던가 이미지를 편집합니다...
뭔가 이상하죠?
하지만 현실은 많은 매거진 발간 업체들이 저상태로 일을 진행 합니다.
역으로 메이져 일간지들은 휴대기기와 노트북을 통해 통신망을 거쳐 바로 기사가 송고 되고 시급한경우 바로바로 온라인에서 기사가 바로 노출이되고 출판 과정을 통해서 몇쇄가 될지 모르는 인쇄물에 안착합니다.
문화 사회 정치 연예 면에서 모든것이 빠릅니다. 거기에 핵심 내용들은 일간지들이 가지고 있는 매거진들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과연 이런 괴물들과 싸워 이길 수 있을까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포멧으로 변화 무쌍함을 가지면서 컨텐츠 프로바이딩을 하고 아이북스 등에서 다양한 실험을 하는 회사가 살아남고 우위를 점하지 않을가 싶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est (0) | 2013.08.10 |
|---|---|
| 2012년 04월 02일 엠군의 소소 (1) | 2012.04.03 |
| 2011년 12월 12일 엠군의 소소 (0) | 2011.12.12 |
| 아이패드 꼭 필요한가? (0) | 2010.04.03 |
| 아이패드 (0) | 2010.01.28 |